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무더운 7월, 지하철에서 ‘너무 덥다’, ‘너무 춥다’는 민원이 하루 수천 건씩 접수되고 있습니다. 객실 간 온도차, 체감 차이를 이해하고 전화·앱·문자로 쉽게 여름철 지하철 에어컨 민원을 접수해 더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해 보세요.
🔍 왜 같은 칸인데도 체감 온도가 다를까?
- 위치 차이: 송풍구가 있는 양끝은 시원, 중앙은 냉기 순환 부족
- 혼잡도 영향: 사람이 많을수록 체열이 높아짐
- 개인차: 체질·복장·연령에 따라 선호 온도 달라 민원도 다양
📈 냉방 민원 집중 호선
호선특징민원 비율
2호선 | 환승 많고 혼잡도 최고 | 약 35% |
7호선 | 긴 노선, 혼잡 구간 다수 | 약 20% |
5호선 | 업무지역 연결, 밀도 높음 | 10% 이상 |
⚙️ 냉방 시스템 작동 방식
- 자동 제어: 외부 온도·혼잡도·시간대 기준 자동 냉방
- 기준 온도: 일반칸 24℃ / 약냉방칸 25℃
- 민원 접수 시: 자동 시스템이 5~10분 내 조정되며, 승무원이 안내 방송하거나 수동 조치
🧊 약냉방칸 위치
노선약냉방칸 위치
1·3·4호선 | 4번째, 7번째 칸 |
5·6·7호선 | 4번째, 5번째 칸 |
8호선 | 3번째, 4번째 칸 |
2호선 | ❌ 미운영 (혼잡 방지) |
📩 민원 접수 방법 3가지
① 전화 접수
- 대표 번호: ☎️ 1577‑1234
- 상담원이 민원 접수 후 온도 조정 요청 진행
② 앱 접수 (또타지하철 앱)
- 앱 이름: 또타지하철
- 이용 방법: 객실 번호 선택 → ‘온도 조절 요청’ 버튼 클릭
- 추가 기능: 혼잡도, 약냉방칸 위치, 열차 정보 실시간 제공
- 앱 다운로드:
③ 문자 접수 (SMS)
- 번호: 1577‑1234
- 문자 형식:예시)
덥다 2호선 2435호 3칸 / 상행 / 07시15분경[민원유형] [호선] [차량번호] [칸번호] / [방향] / [시간]
- 내용 구성: 정확한 열차 식별을 위해 ‘호선, 방향, 시간’을 꼭 포함
✅ 쾌적한 지하철 이용을 위한 5단계 요약
- 정보 확인: 앱으로 혼잡도·칸 위치 확인
- 위치 선택: 송풍구 근처나 약냉방칸 탑승
- 민원 접수: 앱·전화·문자 중 선택
- 대기 조정: 시스템이 자동으로 5~10분 내 조정
- 개인 대응: 겉옷 준비, 칸 이동, 시간대 조절
🔚 한 줄 요약
👉 전화·앱·문자 민원 접수 → 온도 조절 요청 → 모두가 시원한 여름 지하철 완성!
📌 지하철 주요 노선별 민원 접수 번호
노선 구간운영기관 전화번호 문자 가능 여부
1~8호선 (서울) | 서울교통공사 | 1577‑1234 | ✅ 가능 |
9호선 | 서울메트로9호선운영㈜ | 02‑2656‑0009 | ✅ 가능 |
신분당선 | 네오트랜스 | 031‑8018‑7777 | ❌ 불가 |
코레일 (광역철도 포함) | 코레일 | 1544‑7788 (전화) / 1544‑7769 (문자) | ✅ 가능 |
인천지하철 | 인천교통공사 | 032‑451‑2114 / 1899‑4446 | ✅ 가능 |
공항철도 | 공항철도 | 1599‑7788 | ✅ 가능 |
의정부·용인 경전철 | 각 운영사 | 별도 문의 필요 | 노선별 상이 |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