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무더운 7월, 지하철에서 ‘너무 덥다’, ‘너무 춥다’는 민원이 하루 수천 건씩 접수되고 있습니다. 객실 간 온도차, 체감 차이를 이해하고 전화·앱·문자로 쉽게 여름철 지하철 에어컨 민원을 접수해 더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해 보세요.

    여름철 지하철 내부에서의 온도 불균형을 보여주는 일러스트입니다. 왼쪽 승객은 더운 바람이 나오는 자리에서 땀을 흘리며 부채질을 하고 있고, 오른쪽 승객은 찬 바람이 강하게 나오는 자리에서 몸을 웅크리고 떨고 있습니다. 가운데 승객은 비교적 쾌적한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모습입니다.
이처럼 지하철 객실 내 냉방이 고르지 않아 승객들 사이에 불편함과 민원이 발생하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입니다.

     

     


    🔍 왜 같은 칸인데도 체감 온도가 다를까?

    • 위치 차이: 송풍구가 있는 양끝은 시원, 중앙은 냉기 순환 부족
    • 혼잡도 영향: 사람이 많을수록 체열이 높아짐
    • 개인차: 체질·복장·연령에 따라 선호 온도 달라 민원도 다양

    📈 냉방 민원 집중 호선

    호선특징민원 비율
    2호선 환승 많고 혼잡도 최고 약 35%
    7호선 긴 노선, 혼잡 구간 다수 약 20%
    5호선 업무지역 연결, 밀도 높음 10% 이상
     

    ⚙️ 냉방 시스템 작동 방식

    • 자동 제어: 외부 온도·혼잡도·시간대 기준 자동 냉방
    • 기준 온도: 일반칸 24℃ / 약냉방칸 25℃
    • 민원 접수 시: 자동 시스템이 5~10분 내 조정되며, 승무원이 안내 방송하거나 수동 조치

    🧊 약냉방칸 위치

    노선약냉방칸 위치
    1·3·4호선 4번째, 7번째 칸
    5·6·7호선 4번째, 5번째 칸
    8호선 3번째, 4번째 칸
    2호선 ❌ 미운영 (혼잡 방지)
     

    📩 민원 접수 방법 3가지

    ① 전화 접수

    • 대표 번호: ☎️ 1577‑1234
    • 상담원이 민원 접수 후 온도 조정 요청 진행

    ② 앱 접수 (또타지하철 앱)

    • 앱 이름: 또타지하철
    • 이용 방법: 객실 번호 선택 → ‘온도 조절 요청’ 버튼 클릭
    • 추가 기능: 혼잡도, 약냉방칸 위치, 열차 정보 실시간 제공
    • 앱 다운로드:

    ③ 문자 접수 (SMS)

    • 번호: 1577‑1234
    • 문자 형식:예시)
      덥다 2호선 2435 3 / 상행 / 07시15분경
      [민원유형] [호선] [차량번호] [칸번호] / [방향] / [시간]
    • 내용 구성: 정확한 열차 식별을 위해 ‘호선, 방향, 시간’을 꼭 포함

    ✅ 쾌적한 지하철 이용을 위한 5단계 요약

    1. 정보 확인: 앱으로 혼잡도·칸 위치 확인
    2. 위치 선택: 송풍구 근처나 약냉방칸 탑승
    3. 민원 접수: 앱·전화·문자 중 선택
    4. 대기 조정: 시스템이 자동으로 5~10분 내 조정
    5. 개인 대응: 겉옷 준비, 칸 이동, 시간대 조절

    🔚 한 줄 요약

    👉 전화·앱·문자 민원 접수 → 온도 조절 요청 → 모두가 시원한 여름 지하철 완성!


    📌 지하철 주요 노선별 민원 접수 번호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노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구간운영기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전화번호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문자 가능 여부
    1~8호선 (서울) 서울교통공사 1577‑1234 ✅ 가능
    9호선 서울메트로9호선운영㈜ 02‑2656‑0009 ✅ 가능
   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031‑8018‑7777 ❌ 불가
    코레일 (광역철도 포함) 코레일 1544‑7788 (전화) / 1544‑7769 (문자) ✅ 가능
    인천지하철 인천교통공사 032‑451‑2114 / 1899‑4446 ✅ 가능
    공항철도 공항철도 1599‑7788 ✅ 가능
    의정부·용인 경전철 각 운영사 별도 문의 필요 노선별 상이
     
    반응형